예화: 7건 |
|
|
|
|
[고사성어] 가렴주구(苛斂誅求) |
세금을 엄하게 징수�求� 흑정의 비유. 斂은 모은다, 목을 조르듯이 모은다, 또한 거둬들이다, 느슨해진 것을 단단히 죈다라는 뜻. 誅는 공격�求�, 죽이다의 뜻. 피해자는 바로 백성. |
분류: 예화, 문서크기: 0.2K,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2 |
|
|
[고사성어] 각주구검(刻舟求劒) |
배에 표시를 하여 칼을 찾으려함.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널때,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그런데 그 친구는 조금도 당황하지 않고 칼을 떨어뜨린 뱃전을 깎아 내어 표시를 한 다음, '칼이 떨어진 곳 ... |
분류: 예화, 문서크기: 0.4K,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2 |
|
|
[고사성어] 곡목구곡목 [曲木求曲木] |
曲굽을 곡,木나무 목,求구할 구,굽을 곡, 나무 목; [출전]史記의 戰國策(전국책)
인사(人事)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처음부터 직목(直木) 과 같은 인물을 쓰는일. 그렇지 않고 곡목을 쓰면 그 다음 번에도 곡목 ... |
분류: 예화, 문서크기: 0.7K,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3 |
|
|
[고사성어] 취모구자(吹毛求疵) |
털을 불어 헤쳐서 그 속의 흉을 찾는다는 뜻 곧 남의 조그만 잘못을 샅샅이 찾아내는 것을 이른다. 줄여서 '吹毛(취모)'라고도 한다. 吹毛求瑕(취모구하), 吹毛索垢(취모색구), 吹毛索疵(취모색자), 吹索(취색)도 모 ... |
분류: 예화, 문서크기: 0.2K,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3 |
|
|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求� 일
이 말은"漢書" '河間獻王德傳'에 실려 있는, '학문을 닦아 예를 좋아하고, 일을 참답게 하여 옳음을 구함.(修學好古 實事求是)'에서 나온 말이다.
19세기 초기, 즉 청나라 ... |
분류: 예화, 문서크기: 1.2K,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2 |
|
|
[고사성어] 연목구어(緣木求魚) |
나무에 올라 고기를 구하듯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함.
전국시대인 주(周)나라 신정왕(愼?王) 3년(BC 318), 양(梁 : 魏)나라 혜왕(惠王)과 작별한 맹자(孟子)는 제(齊)나라로 갔다. 당시 나이 50이 넘은 孟子는 제후 ... |
분류: 예화, 문서크기: 1.5K,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2 |
|
|
전문정보: 4건 |
|
|
|
|
[한자성어] 가렴주구(苛斂誅求) |
세금 등을 가혹하게 거둬들임. 또는, 그러한 혹정(酷政). |
분류: 전문정보, 문서크기: 53,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4 |
|
|
[한자성어] 동기상구(同氣相求) |
기풍과 뜻을 같이�求� 사람은 서로 동류를 찾아 모인다. |
분류: 전문정보, 문서크기: 52,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4 |
|
|
[한자성어] 상산구어(上山求魚) |
산 위에서 물고기를 찾는다. 당치 않은 데 가서 되지도 않는 것을 원한다는 말이다. |
분류: 전문정보, 문서크기: 78,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4 |
|
|
[한자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나 진상을 연구�求� 일. |
분류: 전문정보, 문서크기: 42, 보리떡: 0 작성일: 2000-08-24 |
|
|
|
|
[배너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