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46/11/27 |
그레고리우스 사망. 희랍 정교회의 수도사이며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 또한 중세에 나타난 헤시카즘의 중세옹호자 중 가장 뛰어난 인물임. |
|
 |
1381/06/13 |
영국 최초의 대규모 민중 반란이었던 '와트 타일러의 난'이 일어났다. 그해 부과되기 시작한 인두세에 대한 원성이 높아지면서 잉글랜드 남동부 지방과 이스트앵글리아를 중심으로 소요가 일어났다. 5월에 에식스에서 시작된 반란은 리처드 2세의 정부에 타격을 입혔다. 6월 13일 와트 타일러가 이끄는 켄트의 반란군이 런던에 들어가 플랑드르 상인을 학살하고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 저택을 파괴하면서 민중 반란은 본격화되었다. |
|
 |
1381/06/15 |
와트 타일러(Wat Tyler), 영국 농민반란. '와트 타일러'의 난의 지도자 사망. |
|
 |
1401/03/24 |
몽골 황제 티무르(帖木兒 : 서방에는 타멀란 대제(Tamerlane the Great)로 알려짐), 시리아에서 다마스커스(Damascus:다메섹)를 포위함. |
|
 |
1429/06/18 |
잔다르크(Joan of Arc)가 이끄는 프랑스 군이 파타이 전투(Battle of Patay)에서 영국군 격파. |
|
 |
1436/06/06 |
레기오몬타누스 출생. 천문학자이자 유럽에서 삼각법의 부흥과 발전에 주요한 공적을 세운 수학자이며 주교. |
|
 |
1444/04/26 |
캄핀 사망. 플랑드르 회화의 초기의 가장 위대한 화가들 가운데 한사람.그의 작품은 더 높은 관찰력과 조형 능력을 나타내고 있다. |
|
 |
1445/02/24 |
파노르미타누스 사망. 이 이름은 항상 팔레르모의 총대주교인 니콜라우스에게 붙여진다.교회법학자. |
|
 |
1464/06/19 |
프랑스 루이 11세(Louis XI) 말을 타고 주요 도로를 달려서 왕의 업무를 전달하는 제도 포고문을 내림. |
|
 |
1469/02/20 |
카예타누스 출생. 이탈리아의 추기경. 공의회의 제2차회기 동안에 교황무오설을 인정하는 교서를 만들게 했던 인물. |
|
 |
1483/10/16 |
콘타리니 출생. 이탈리아의 추기경. 그의 온전한 결단력과 나무랄데 없는 인품은 말할 것도 없고 그의 재예는 어디를 가나 존경받는 인물로 만듬. |
|
 |
1484/01/02 |
플루타크 영웅전, 이탈리아의 인쇄업자 니콜라 젠손에 의해 출판됨 |
|
 |
1512/08/27 |
쉬타파일루스 출생. 루터교 신학자. 후에 로마가톨릭 논증자. |
|
 |
1513/10/30 |
아미오 출생. 주교이며 플루타크 전기의 불역으로 유명한 고전학자. |
|
 |
1519/06/24 |
테오도르 베자(Theodre Beza) 출생. 스위스 제네바 종교개혁가. 칼빈의 사상을 그대로 답습한, 즉 칼빈의 제2인자로 나타났고, 성서학에 있어서의 그의 공헌은 대단히 중요하다. |
|
 |
1523/06/07 |
구스타퍼스 바사(Gustavus Vasa),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1세(Gustav I)로 선출됨. |
|
 |
1524/05/31 |
바티스타 사망. 복자. 1484년에 카메리노에서 [산타 마리아 노바]라고 하는 한 새로운 수녀원을 건립하였다. 그녀는 환상을 보았고 특별한 은총을 받았다 |
|
 |
1524/12/28 |
쉬타우피츠 출생.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의 총대리이자 루터의 친구. |
|
 |
1527/11/12 |
아리이스 출생. 몬타누스라고 불림. 언어학에 능통했다. |
|
 |
1533/10/27 |
칼빈, 마아거리트 당굴렘 방비에게 보낸 편지에거 칼빈은 이때까지도 자신이 인본주의자임을 나타냄. 이 편지 직후에 그는 회심(回心)을 경험한 것 같다. 1557년에 출판한 시편 서문에서 "하나님은 그의 신비로운 섭리로써 나를 다른 방향으로 전환시키었다"라고 기록한 그 경험은 이때의 경험인 것 같다. |
|
 |
1538/02/03 |
~04. 200인 의회에서 "신앙고백"을 받아들이지 않는 자에 대해서는 성찬식에 참례하지 못하게 하겠다는 칼빈과 파렐의 제안을 거부함으로써 칼빈과 의회와의 대립이 나타나게 됨. |
|
 |
1541/12/24 |
칼쉬타트 사망. 프로테스탄트 개혁자.1516년 만든 9월에 만든 그의 151개 논제들에는 그의 후기 신학의 중요한 특징들이 포함됨. |
|
 |
1545/11/28 |
리스벨트 사망. 앤트워프의 출판업자. 그의 출판물들은 불가타 성서역본에 준거하여 복음서들과 바울서신들을 번역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었다. |
|
 |
1549/01/28 |
레비타 사망. 히브리어 문법학자. 그의 저작들과 가르침은 유대인들에 대한 적개심이 널리 퍼져있던 시대의 유럽 기독교계에 히브리어 연구를 촉진시킴. |
|
 |
1551/05/11 |
타스 사망. 슬레스빅 홀쉬타인의 종교개혁자. 그는 박식하고 연구심이 강한 사상가요. 그의 임무를 열심있고 용기있게 수행하는 인물로 명성을 얻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