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39/05/19 |
칼빈,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개혁자회의에 참석, 여기서 처음 멜랑톤을 만나 평생의 친구로 지냄.
|
|
 |
1607/11/20 |
팔라비친노 출생. 이탈리아 출신의 추기경.그는 알렉산더 7세의 전기를 집필함. |
|
 |
1700/09/30 |
로마가톨릭사제 겸 폴란드의 교육개혁에 영향을 끼친 정치 평론가. |
|
 |
1758/09/03 |
타보라 음모. 포르투갈 왕 요안네스1세를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그 결과 귀족,예수회 수도사들이 무자비한 박해를 당함. |
|
 |
1802/07/27 |
북경주교 구베아가 본국 친구에게 조선교회 사정 서면으로 전함 |
|
 |
1877/11/20 |
오처드 출생. 프로테스탄트와 로마가톨릭 사이의 더욱 친밀한 이해를 위해 노력한 초교파적 입장을 취한 사제. |
|
 |
1884/12/04 |
알렌 선교사 갑신정변에서 다친 민영익을 치료하여 왕실에 신망을 얻음. |
|
 |
1908/03/23 |
스티븐슨(친일통감고문) 장인환에게 오클렌드역에서 피살 |
|
 |
1908/03/28 |
대연리교회, 교인 김흥수의 모친이 부산진교회에서 원입교인이 된 후 세례교인(세례명:영화)이 되다.(부산진 당회록) |
|
 |
1911/04/11 |
하와이한인자유교회 설립. 감리교회신도 일부가 친일적이던 하와이 감리사 워드맨과 충돌후 분립해 설립됨. |
|
 |
1913/10/10 |
노튼 설립. 미감리회 의료선교사. 1907년 내한하여 황해도 해주 지방에서 개척 선교사로 활동함. 모친의 생일일날 노튼 기념병원 설립봉헌함. |
|
 |
1914/12/00 |
화해의 친교회 창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창설된 평화기구들 가운데 아마 가장 중요한 기구.영국 퀘이커교도인 헨리 하즈킨에의해 설립. |
|
 |
1928/10/16 |
연숭전 개최.연희전문학교와 숭실전문학교의 운동경기.두 학교의 친선경기. |
|
 |
1932/01/28 |
평양노회, 강신극(降神劇) 현상을 이단으로 규정. 원산에서 유명화, 한준명 등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예수친림' 주장에 대해 평양노회가 이들을 이단으로 규정함. |
|
 |
1938/07/00 |
조선기독교연합회 창립.친일 기독교단체. |
|
 |
1941/03/20 |
평양노회는 일본 총독부의 앞잡이 노릇하는 평양 친목회의 일방적인 의견과 주장에 의해서 역사적인 4가지 안건을 결의, 결의 내용은 주기철목사를 파면하고, 동역자 편하설 선교사는 산정현교회 출입을 금지함, 현직 7장로는 장로직을 정지함, 당회장은 노회에서 선택하고 수습위원 7인을 택정함 등. |
|
 |
1941/06/23 |
"슈호프가 집을 나선 것은 1941년 6월 23일이었다. 일요일 아침 폴롬냐 교회에 예배드리러 갔던 사람들이 전쟁이 터졌다고 알려주었다." --솔제니친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 이 소설에서 슈호프는 전쟁에 참여하여 포로가 되고 조국을 배반한 죄목으로 수용소에서 3,653일째의 날을 보낸다. |
|
 |
1943/10/03 |
감리교 감독에 정춘수 목사 재취임 후 친일적 개혁 단행, 대 일본 제국 조선감리교단으로 바꾸고 구약과 요한계시록을 폐지하도록 지시. |
|
 |
1945/07/19 |
일본기독교조선교단 조직. 친일 초교파 교단조직. |
|
 |
1952/02/01 |
한정협회 창설."한국과 덴마크 양국의 친선과 문화교류를 목적"으로 창설된 민간외교단체. |
|
 |
1963/05/00 |
한국원목협회 창립.전국기독교병원 원목들의 발기로 조직됨.목적은 병원전도와 연구발전 회원 친목도모. |
|
 |
1966/02/08 |
한국교회사학회 창립.한국에 있어서의 교회사학의 연구 및 발표,회원간의 친목을 목적으로 한 학회. |
|
 |
1966/02/06 |
여야 국회의원 20여명, 조찬기도회 갖고 국제기독교연합회 한국지부 결성;1960년 8월 31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창립되었으며, 교회 친교 및 협력 복음전파와 신앙보수 목적으로 활동. |
|
 |
1966/05/23 |
국제기도친교회 한국지회 조직 |
|
 |
1968/01/05 |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창립. 기독교인 대학교수들간의 친목도모와 학문연구의 상호협력 그리고 신학과 선교문제 등에의 학문적 대응 등을 목표로 결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