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컴퓨터선교회(KCM)
Startsite   게시판   메일   M1000선교사홈   Mission Magazine
 

 

약사전체
기독교약사
세계약사
한국약사
인물탄생
인물사망
오늘의 약사
(다음에서 위젯 퍼가기)
56건 중 1~25
1019/02/06 (고려 현종 10)  강감찬 장군, 귀주대첩에서 개선.
귀주대첩 - 1018년 2월 소배압을 총지휘관으로 하여 10만의 거란군이 침입했을 때(거란의 3차 침입), 강감찬이 귀주에서 크게 무찌른 것을 말한다. 이 때 거란의 10만 군사 중 수천 명만이 살아남았다고 한다. 거란의 성종은 소배압에게 "네가 너무 적지에 깊이 들어가 이 지경이 되었다. 무슨 얼굴로 나를 만나려는가. 너의 낯가죽을 벗겨죽이고 싶다"고 책망했다고 한다.
1653/08/16 1653년(효종 4) 네덜란드인도회사의 선원인 하멜 일행이 제주도에 표착했다. 일행은 타이완[臺灣]에서 일본으로 항해하던 도중 폭풍우를 만났으며 제주도에 상륙한 후 서울로 압송되었다. 조선은 이들의 표류사실을 비밀에 붙이고 훈련도감의 포수로 임명해 살도록 했다. 앞서 표류한 네덜란드인 벨테브레(한국 이름은 박연)가 이들의 대장이 되었다. 1655년 청나라 사신의 행렬에 뛰어들어 구원을 요청했으나 실패했으며, 이 일로 일행은 서울에서 추방되어 전라도 병영으로 이속되었다. 이들은 군사훈련을 받고 병영의 막일에 시달렸으며, 흉년에는 구걸을 하거나 승려들의 도움을 받아 살기도 했다. 1666년(현종 7) 9월 생존자 16명 중 8명이 배를 구해 일본으로 탈출했으며, 2년 뒤 네덜란드의 요청으로 남은 일행도 일본으로 송환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조선에서 겪은 일들을 <하멜 표류기>(1668)로 엮어 암스테르담에서 출판했다. 하멜 일행은 서양세계를 조선의 민간에 소개하는 창구 역할을 했으며, <하멜 표류기>는 한국을 서방에 소개한 최초의 책으로 유럽 각국어로 번역되었다.
1862/05/26 (철종 13년) 전국에서 발생한 농민봉기 임술농민항쟁에 대한 대책으로 삼정이정청이 설치되었다.
1883/01/27 (조선 고종 20)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
국기를 만들게 된 계기는 17세기에 청 나라 외교관 황준헌이 지은 <조선책략>에서 "조선이 독립국이면 국기를 가져야 한다"며 그 모양까지  제시해 놓은 데서 출발한다.  '태극·4괘 도안'의 기를 국기(國旗)로 공포하였다. 하지만 만드는 법이 확정되지 않아 만드는 사람에 따라 크기나 문양이 달라 혼란을 주었으므로, 1949년 국기제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음양과 4괘의 배치안을 확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11/01/01

조선독립운동 말살책인 105인 사건 조작, 민족주의자 70여명 피검.

1911/06/19

조선시대 문서를 보관하던 이왕직도서관인 장서각이 설립되었다.

고종 때 규장관·홍문관·집옥재·춘방·4사고 등에 있던 책들을 사간동에 있는 인수관으로 옮기고 서고를 지으려 했으나, 1910년 한일합병으로 중단되었다.

1921/05/21 민족주체성 세운 사학자 신채호, 독립투쟁단체인 '통일책진회' 조직
1943/10/08 총독부, 생산증강노무강화대책 공포
1943/10/13 총독부, 전시교욱비상조치방책 발표
1945/10/10 '조선 공산당 서북 5도 책임자 및 열성자 대회' 비공개 개막, 김일성 비밀리에 나타나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12/17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제3차 확대회의 김일성 책임비서 취임.
1948/05/14

북한, 남한에 대한 송전 중단. 김책, 대남 송전 중단은 남한 단독선거에 대한 항의라고 18일 발표

1948/05/18 김책, 대남 송전 중단은 남한 단독선거에 대한 항의라고 발표.
1949/06/03 국회, 전 국무위원 인책사임안 가결
1949/05/17 미국, 대한민국에 대한 원조 2억불 책정.
1950/03/13 국회, 내각책임제 개헌안 부결
1950/03/27 남노당 총책 김삼용-이주하 체포
1950/07/19 미국 국무성, 한국사태에 미국정책백서 발표(한국백서)
1950/02/06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
1952/04/17 내각책임제 제3차 개헌안 제출
1952/06/21 내각책임제, 대통령직석제 개헌안, 국회에 상정.
1960/05/03 최인규 전내무장관, 발포책임 물어 구속
1960/05/11 국회, 내각책임제 개헌언 제출
1960/05/21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 (6.15 국회통과)
1960/06/15 내각책임제 개헌안 국회통과 공포. 제2공화국 성립

  [1][2][3]  
검색어

전체
날자검색
기간검색
예) 숫자 8,6,4 자리 입력
19990101, 199901, 1999




 

 


홈페이지 | 메일 | 디렉토리페이지 | 인기검색어 | 추천사이트 | 인기사이트 | KCM 위젯모음 | 등록 및 조회

KCM 찾아오시는 길 M1000선교사홈 미션매거진